현장에서 도면을 제대로 잡아두면 뒤에 오는 설비·소방·전기 도면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건축은 그 시작점입니다. 특히 건축개요는 면적·용도·층수·구조형식 같은 핵심 데이터를 한 장에 모아두는 종합 데이터 표(데이터의 집합체)라서, 인허가 검토부터 안전관리, 설비 배치, 주차·조경 산정까지 전부 여기서 출발합니다. 건축 도면은 “대지 → 골조(철골·기둥·보) → 벽체 → 지붕 → 창호 → 1차 설비(배수·전등·전열) → 소방·공조 연계 → 주차·조경” 순서로 정리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건축 도면의 구성요소 전체 목록과 작성·검토 순서, 초임 안전관리자도 놓치기 쉬운 연결 확인 포인트를 한 번에 정리합니다.
Ⅰ. 건축 도면을 이렇게 본다 — “설계는 순서다”
1) 대지 결정
건물 배치, 진입 동선, 트럭 회전반경, 위험물 동선 분리를 우선 검토합니다.
2) 주축 구조
철골(H-beam), 기둥·보, 슬래브 구조를 확정해 뒤에 오는 배관·덕트 간섭의 기준선을 만듭니다.
3) 벽체·구획
방화구획/내화구조, 외벽 사양, 내부 칸막이를 설정합니다.
4) 지붕·배수
지붕 형상·방수·거터(GUTT)·우수 배수 경로를 계획합니다.
5) 창호·문
방폭/방화문, 채광·환기, 창호 크기·개폐 방향을 정합니다.
6) 1차 설비 연계
오·폐수 배수계획, 전등·전열 기본 배치, 설비 샤프트를 건축 도면에 가이드로 반영합니다.
7) 소방·공조 연계
피난·방화구획, 공조구역·압력구역의 경계를 표기합니다.
8) 외부 계획
주차·조경·장애인 편의시설을 배치합니다.
순서를 지키면 구조–설비 간섭, 창호–배관/덕트 충돌, 피난 동선 훼손 같은 전형적 문제를 초기에 줄일 수 있습니다.
Ⅱ. 건축개요는 ‘데이터의 집합체’ — 왜 핵심인가
① 인허가 기준의 제출 자료(건폐율·용적률·주차·조경·높이제한 수치 집합) · ② 연계 도면의 범위 설정(전기실·기계실 면적, 샤프트 수량/위치 등 공간 요구조건) · ③ 안전·피난의 전제(재실, 피난거리·유효폭 가정) · ④ 단일 기준표 역할(개정 시 건축개요부터 업데이트).
Ⅲ. 건축 도면의 ‘큰 구성’과 상세 항목
1) 종합(프로젝트 시작 문서)
- 건축개요(핵심 데이터 표): 대지/건축/연면적, 용도, 층수, 최고높이, 구조형식
- 건물배치도(단지 내 위치), 단지 내 위치도, 대지 종·횡단면도
- 주차계획도(지상/지하, 장애인·EV 충전), 장애인편의시설 계획도
- 조경계획도/조경구적도/식재계획표, 면적산출표(건폐율·용적률·주차)
- (공통 표기) 레전드/도면번호/개정이력(Rev.)/좌표·EL/방위/축척·단위
2) 기본도면(형태·구조의 뼈대)
- 각 층 평면도(실 배치, 기계실·전기실, 샤프트·트렌치 가이드)
- 지붕 평면도(형상·경사·거터·드레인 위치)
- 입면도(동·서·남·북) — 외장 마감, 창호 크기·위치, 레벨 관계
- 단면도 — 층고, 슬래브 두께, 샤프트, 트렌치 깊이, 덕트·배관 통과 레벨
- 주심도/기초 구조 평면도 — 기초 형식, 철골 그리드, 기둥 좌표
3) 마감·창호(시공 품질을 좌우)
- 실내재료마감표/마감 상세도(난연·내화 등급, 습식/건식)
- 각 층 창호 부호도/창호도(문·창) — 방화문 등급, 개폐 방향, 하드웨어
- 큐비클 상세도(화장실 칸막이) — 전기 ‘큐비클’과 구분
- 방수·개구부 마감 상세(문턱·창턱, 외벽 개구, 실링·플래싱)
4) 구조·접합 상세(현장 분쟁 다발 구간)
- 슬래브 일람표/보 일람표/기둥(골조) 일람표
- 철골 접합 상세(베이스플레이트, 용접/볼트, 브레이싱)
- 계단·난간 상세(손스침, 발끝막이, 계단 치수·단높이)
- 트렌치 상세(폭·깊이, 그레이팅 하중등급, 보강·턱 상세)
- 판넬 상세(ROOF/코너/GUTT) — 거터·드레인·치마판넬·조인트
- 주각 상세(기초·앵커·수밀 디테일), 골조 구조도(보/기둥, 보강 부재)
5) 건축 기반 설비(건축 도면에 표시되는 ‘연계’ 항목)
- 오·우수 계획: 우수계획도(경사·드레인·다운스파우트), 오수라인 시공도면(집수정·트랩·클린아웃·기름막이)
- 오·폐수 배관: 계통도 / 평면도 / 바닥배수 상세(바닥 경사, 포인트드레인)
- 에어컨 배관: 계통도/평면도(건축 평면에 루트·샤프트만 가이드 표기)
- 피난·방화 기본 표기: 방화구획, 피난계단·유효폭, 피난거리 가정
큰 구성 | 핵심 도면/서류 | 같이 확인할 것(연결) | 연계(설비·소방·전기) |
---|---|---|---|
A. 종합 | 건축개요, 배치도, 면적산출표, 주차·조경, 장애인 계획 | 개요 수치 ↔ 배치·평면 일치, 출입/물류/피난 동선 구분 | 설비·소방 구역 경계, 전기실·기계실 면적 확정 |
B. 기본도면 | 각 층 평면, 지붕 평면, 입면, 단면, 주심/기초 | 층고·보 하부 유효고, 샤프트 좌표/EL, 지붕 경사 | 대구경 덕트·배관 루트, 관통부 보강·내화 처리 |
C. 마감·창호 | 마감표/상세, 창호 부호도/창호도, 큐비클, 방수 상세 | 방화문 등급·개폐 방향, 창턱/문턱 높이, 실링·플래싱 | 피난 흐름, HVAC 급·배기 균형, 전기/통신 배선 통로 |
D. 구조·접합 | 슬래브/보/기둥 일람, 철골 접합, 계단·난간, 트렌치, 판넬, 주각 | 하중·진동, 그레이팅 하중등급, 누수 취약부, 내식 재료 | 중량장비 베이스 보강, 설비 트렌치/덕트 지지, 피뢰·접지 경로 |
E. 건축 기반 설비 | 오·우수계획, 오·폐수 계통/평면, 에어컨 계통/평면, 피난·방화 기본표기 | 바닥 경사·집수정, 오염수 라우팅, 유효폭·피난거리 | 위생·배수 라인, 소방 존 구획, 전등·비상조명·트레이 가이드 |
Ⅳ. 각 동(동별) 도면 구성
동별로 필요한 도면과 서류를 모아 관리합니다. 모든 항목은 레전드, 좌표·EL, 개정(Rev.) 이력을 포함합니다.
1) 동 기본정보
동명 | 층수 | 용도 | 연면적(㎡) | 특이사항 |
---|---|---|---|---|
2) 동별 도면 체크리스트
구분 | 도면/서류 | 완료(□) | 비고 |
---|---|---|---|
종합 | 면적산출표, 동 표지/배치, 대지 종·횡단면(해당 시) | □ | |
기본도면 | 각 층 평면, 지붕 평면, 입면(동·서·남·북), 단면, 주심도/기초 구조 평면 | □ | |
마감·창호 | 실내재료마감표/상세, 창호 부호도/창호도(문·창), 방수·개구부 마감 상세 | □ | |
구조·접합 | 슬래브/보/기둥 일람, 철골 접합 상세, 계단·난간 상세, 트렌치 상세, 판넬 상세(ROOF/코너/GUTT), 주각 상세 | □ | |
건축기반 설비 | 오·우수 계획(우수계획도, 오수라인 시공도면), 오·폐수 계통/평면/바닥배수 상세, 에어컨 배관 계통/평면, 피난·방화 기본 표기 | □ |
Ⅴ. 결론
건축 도면은 모든 도면의 기반 플랫폼입니다. 특히 건축개요는 ‘목차’가 아니라 프로젝트 핵심 수치를 모은 데이터의 집합체로서 전 팀의 공통 기준표 역할을 합니다. 개요로 기준을 고정하고, “대지→골조→구획→지붕→창호→1차 설비→소방·공조 연계→외부계획” 순서로 정리하면 연계(설비·소방·전기) 도면까지 문제 없이 이어집니다.
Ⅵ. 핵심 요약
- 건축개요 = 핵심 수치의 집합체(기준표)다.
- 도면은 대지→골조→벽체→지붕→창호→1차 설비→외부 순으로 정리한다.
- 큰 구성: 종합 / 기본도면 / 마감·창호 / 구조·접합 / 건축기반 설비.
- 표로 연결 확인 항목을 관리하면 연계(설비·소방·전기)와 맞물림이 좋아진다.
- 건축 단계에서 기준을 고정하면 다음 단계의 문제 발생이 감소한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