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안전검사 절차와 판정 기준 ― 초보 안전관리자 필독 가이드

크레인은 “매일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는 이유로 점검이 소홀해지기 쉽습니다. 하지만 부적절한 권과(오버트래블), 리미트 미작동, 레일 불량, 와이어·체인 마모는 한 번에 대형사고로 이어집니다. 초보 안전관리자라면 검사 전 안전조치를 확실히 하고, 지상→상부·정지→동작의 순서를 지켜 표시·조작·구조·전기·하중시험을 체계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 글은 실제 검사 흐름에 맞춰 주의사항과 판정 수치를 정리했습니다.

크레인 안전검사 절차와 점검 기준 요약 가이드

글만 보고도 현장에서 빠짐없이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Ⅰ. 왜 이 순서인가: 배경·적용범위·검사주기

크레인 안전검사는 사람과 화물이 가까이 있는 설비 특성상 위계적·단계적 운영이 핵심입니다. 먼저 정지 상태에서 표지·조작계·구조 건전성을 점검하고, 문제가 없을 때 동작 상태로 넘어가 리미트·브레이크·주행계통을 검증합니다. 대상은 천장주행·갠트리·호이스트 등 사업장용 크레인이며, 일반 사업장의 정기검사 주기는 최초검사 이후 2년마다, 건설현장 사용은 6개월마다가 일반적입니다.

Ⅱ. 검사 전 공통 주의사항(반드시 시행)

  • 경고·차단: “출입금지/작동금지/검사 중” 표지 부착, 낙하반경·주행 경로 임시 통제.
  • 무부하→단계적 하중시험: 외관·무부하 동작이 정상일 때만 진행, 정격 이하 안전하중부터 단계 상승.
  • 낙하반경 출입 금지, 타 설비 상부에서 시험 금지. 슬링·샤클·후크 해지장치 동시 안전성 확인.
  • 무선 리모컨은 잠금 또는 검사원이 상시 휴대해 오작동 방지.
  • 제어반 내부 점검은 전원 차단 후. 전압·전류는 2차측, 절연·접지 등은 무전압에서 측정. 도면-실물 불일치로 인한 역송전·아크 주의.
  • 병렬 설치 시 인근 크레인 작업 중지 또는 감시인 배치.

Ⅲ. 검사 방법(지상→상부, 정지→동작)

현장 혼선을 줄이려면 지상(정지→동작) → 상부(정지→동작) 순서를 지키세요. 각 단계의 합격/중지 기준을 미리 공유하면 재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지상] 정지 중 확인

  • 대상식별·명판: 정격하중, 제조자·연월, 형식/제조번호, 안전인증 표기 일치.
  • 설치 위치: 옥내/옥외, 스팬·양정, 거더 형식, 처짐 상태(기존 결과서·제품심사서와 비교).
  • 주행로 이물·누유 제거, 조명 확보.
  • 조작부: 펜던트·리모컨·운전실 외관 양호, 비상정지 버튼 설치·복귀 양호, 동작방향 표기 선명.
  • 본체 조작방향 안내, 훅/시브 블록 정격하중 표기 확인.
  • 펜던트 높이 바닥면 0.9~1.7 m, 케이블은 보조 와이어로프로 지지.
  • 비상 상황 대비 주전원 차단 스위치 위치 공유.

2) [지상] 동작 중 확인

  • 조작 일치성: 버튼 표기 방향과 실제 이동방향 일치, 비상정지 즉시 정지. 펜던트·무선·운전실 동시조작 방지(선택 스위치).
  • 드럼 잔권 ≥ 2바퀴(훅 최저 위치 기준).
  • 와이어/체인 상태: 지름·Fall 수 일치, 이음매 없음, 단선 소선 ≥10% 금지, 지름감소 >7% 금지(로프). 체인은 연신율 ≤5%, 지름감소 ≤10%.
와이어로프 형상 변형 사례
그림 1. 와이어로프 형상 변형 유형
와이어로프 마모·부식 상태
그림 2. 마모·부식 진행과 단선 위치
  • 권과/비상정지 작동 확인(직동식·중추식·나사식·캠식 등 형식 불문).
권과방지장치 종류 비교(직동식·중추식·나사식·캠식·슬립클러치)
그림 6. 권과방지장치 형식별 개요
  • 주행/횡행 리미트: 스토퍼 도달 전 전기적 정지. 횡행 속도 48 m/min 이상이면 리미트 설치·작동 필수.
  • 주행 속도 판정: 펜던트·무선 주행 속도는 48 m/min 이하인지 확인(참고: 성인 빠른 걸음 66 m/min).
  • 병렬 충돌방지: 동일 주행로 2대 이상 시 접근 시 경보+자동정지(작업바닥에서 화물과 함께 이동하는 경우 제외).
산업안전보건기준 제166조 사용금지 기준 및 버니어캘리퍼스 직경 측정법
그림 3. 제166조 사용금지 항목과 직경 측정 요령(올바른 측정법 비교)

와이어로프 사용금지(요지): 이음매가 있는 것, 끊어진 소선 수가 10% 이상, 지름감소가 공칭지름 7% 초과, 꼬임·심한 변형·부식, 열·전기충격 손상 등.

3) [상부] 정지 중 확인

  • 거더·새들: 비틀림·균열·부식 없음. 용접부 균열, 볼트 풀림 확인(너트 여유 나사산 ≥ 2산).
  • 정지기구(스토퍼): 손상·탈락 없음. 설치 높이 주행차륜 지름의 1/2 이상, 횡행차륜 지름의 1/4 이상. 완충장치 손상·볼트 풀림 없음.
  • 옥외 주행크레인은 미끄럼방지 고정장치 구비.
  • 차륜·치차류: 플랜지 마모 원치수의 50% 이내, 치면 손상 없음.
  • 브레이크: 이상음·이상냄새·작동 불량 없음. 라이닝 마모 ≤50%, 디스크/드럼 마모 ≤10%.
  • 드럼·시브: 용접제 드럼 홈 마모 ≤로프지름 20%, 주철제 ≤25%. 시브 홈 마모 ≤로프지름 20%.
  • 로프 단말 고정: 소선 절단·부식·킹크 없음, 단말 고정 풀림·탈락 없음. 클립 간격 ≥ 직경×6.
와이어로프 클립 체결 불량 사례와 지름별 최소 클립 수 기준
그림 4. 클립 체결 불량 유형과 지름별 최소 수량(≤16㎜: 4개 / >16~≤28㎜: 5개 / >28㎜: 6개 이상, 간격≥직경×6)

4) [상부] 동작 중 확인

  • 레일·체결: 이탈·변형·측면 이상마모 없음, 체결볼트 풀림·탈락 없음.
    연결부 틈새: 천장 3 mm, 기타 5 mm / 엇갈림: 상하·좌우 0.5 mm 이하 / 마모 허용: 원치수의 10% 이내.
  • 스팬 편차: ΔS = ±[3 + 0.25×(L-10)] mm(10 m 초과, 최대 15 mm), 높이편차 ±10 mm, 좌우 수평차 ≤10 mm, 구배 2 m당 2 mm 초과 금지, 전 길이 진직도 10 mm 이내.
  • 브레이크 동작: 이상발열·이상진동·슬리핑 여부 확인, 필요 시 비파괴(PT) 점검.
  • 리미트·집전장치: 주행·횡행 리미트 작동. 트롤리바 커버 탈락·휘어짐·접촉불량으로 인한 불꽃 발생 여부 확인.
트롤리바 시스템 구성도와 부품 명칭(집진기·조인트커버·전원인입기·엔드캡·행거브래킷·격리대 등)
그림 5. 트롤리바 시스템 구성(부품 명칭·기능 요약)

Ⅳ. 전기·제어 기준 요약(시험 팁)

  • 제어반: 충전부 노출 없는 폐쇄형, 잠금장치 구비, 전원 정격·상수 명판 부착.
  • 보호협조: 차단기·퓨즈 정격은 해당 전동기 정격전류 대비 차단기 ≤ 250% / 퓨즈 ≤ 300%.
  • 펜던트 회로전압: 교류 150V 이하 / 직류 300V 이하, 케이블은 보조 와이어로프 지지.
  • 무선 제어: 선택 스위치로 동시조작 금지, 간섭에 의한 오동작·불능 금지, 배터리 저전압 경보/Fail-safe 확보.
  • 조명·표시: 조작부 충분 조도, 파손방지 가드 양호.
  • 접지저항: 400V 미만 <100Ω, 400V 이상 <10Ω. 전동기 절연저항은 MΩ ≥ 사용전압(V)/(1000+출력(kW)).

Ⅴ. 하중시험 절차(기록 포함)

  1. 사전조건: 구조·전기·리미트·브레이크 적합, 슬링 WLL·각도·길이 검증, 낙하반경 통제.
  2. 단계상승: 정격하중 이하에서 시작해 단계별 상승. 권상·횡행·주행 복합 하중 포함하되 위험 시 즉시 중지.
  3. 판정: 이상 진동·소음·슬리핑 없음, 브레이크 제동거리 적정(제조사 기준), 리미트·권과 오동작 없음.
  4. 기록: 하중값·시간·동작모드·비상정지 작동 여부·측정치(접지·절연)·불합격 사유·조치·재시험 결과를 성적서로 보관.

Ⅵ. 불합격 빈출 TOP 10(현장 경험 기반)

  1. 리미트 미작동(기계식만 있고 전기 리미트 미설치, 설정거리 과다)
  2. 권과 미조정(작동거리 부족: 일반 0.25 m, 직동식 0.05 m 미만)
  3. 펜던트 위치 불량(0.9~1.7 m 이탈, 케이블 무지지)
  4. 주행 속도 과다(48 m/min 초과, 설정값 변경 이력 미관리)
  5. 와이어 클립 불량(수·간격 미달, 방향 역체결)
  6. 드럼 잔권 미달(최저 위치에서 2바퀴 미만)
  7. 브레이크 라이닝 과마모(50% 초과) 또는 디스크/드럼 마모(10% 초과)
  8. 레일 치수관리 미흡(틈새·엇갈림·스팬편차 초과)
  9. 접지저항 기준 초과(100Ω/10Ω 미준수), 절연저항 저하
  10. 충돌방지 오동작(센서 오염·감도 과민/과둔, 설정거리 불일치)

Ⅶ. 현장 체크리스트

  • [ ] 경고·차단 조치 / 무선 잠금 / 낙하반경 통제
  • [ ] 명판·정격·표시 일치 / 조작방향 표기 / 비상정지 정상
  • [ ] 펜던트 높이 0.9~1.7 m / 케이블 보조 와이어 지지
  • [ ] 드럼 잔권 ≥2바퀴 / 권과 정상 / 리미트 정상(스토퍼 전 정지)
  • [ ] 주행·횡행 속도 적정(≤48 m/min)
  • [ ] 레일 틈새·엇갈림·마모 허용 이내 / 스팬·레벨 허용 이내
  • [ ] 브레이크·치차·차륜·드럼·시브 마모 허용 이내
  • [ ] 와이어·체인(연신·지름·단선·부식) 기준 적합 / 클립 수·간격 적합
  • [ ] 접지저항 기준 적합 / 전동기 절연저항 적합 / 보호협조(차단기·퓨즈) 적합
  • [ ] 병렬 충돌방지 장치 감도·정지거리 적정
  • [ ] 하중시험 단계·결과 기록, 불합격 조치·재시험 성적서 보관

Ⅷ. 결론(실무 조언)

크레인 검사는 “한 번에 끝내는 기술”이 아니라 순서와 기준을 지키는 운영입니다. 정지→동작의 단계, 하중 단계상승, 수치 기준만 지켜도 불합격률은 현저히 낮아집니다. 마지막으로 기록(성적서·사진·측정치)을 남겨 재검·감사에 대비하십시오. 장치·전압·환경이 다른 사업장은 명판·제조사 매뉴얼을 최종 기준으로 보완 적용하면 됩니다.


참고자료 다운로드
크레인 안전검사 자료 PDF
⬇ 다운로드 (PDF) 👀 미리보기
외부 링크는 새 창에서 열립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