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단기 검사 기준 총정리|방호장치(가드·양수·광전자) 시험 방법과 불합격 포인트

전단기(shear)는 칼날 사이에 신체가 접근할 수 있어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이 글은 정지상태전원투입방호장치전기·유압 순으로 검사 절차와 판정 수치를 정리했습니다.

전단기 안전검사 불합격 포인트 5 — 브레이크 제동·라이트커튼 거리·양수 동시성·칼날·비상정지 조건 요약

특히 비상정지 복귀 전 재가동 금지, 절연저항 하한, 압력계·압력스위치 판정, 가드 인터록을 실무 기준으로 체크합니다.

Ⅰ. 전단기의 구조와 기본 이해

전단기는 크게 기계식 길로틴형, 원형 롤러형, 유압식으로 구분됩니다. 기계식은 브레이크·클러치, 롤러형은 칼날 정렬·마모, 유압식은 유압 누유·압력계를 중점 확인합니다.

Ⅱ. 법령 근거 및 검사 개요

산업안전보건법 및 시행규칙, 고용노동부·안전보건공단 고시 「프레스·전단기 안전검사 기준」 적용.

검사 절차: 정지상태 → 전원투입 → 방호장치 → 전기·유압. 기록·사진 보존.

  • 검사 대상: 전단능력 등 고시에 따른 안전검사 대상 전단기
  • 검사 시점: 최초 설치·가동 전 / 정기 / 개조·이전·사고 후 수시

Ⅲ. 정지상태 점검

1) 이름판·능력 표시

전단능력·규격, 형식·제조번호, 제조자·제조연월, 안전인증 표시는 선명해야 합니다.

2) 외관·조립 상태

프레임·주요부품 균열·손상 없음. 타이로드·기초볼트 등 체결부는 풀림이 없거나 풀림방지 조치가 있어야 합니다.

3) 칼날·판압장치

칼날 날끝 균열·깨짐 없음, 고정부 풀림 없음. 판압장치(홀드다운)는 절단 시 공작물을 확실히 눌러야 합니다.

4) 작업 발판·난간

  • 난간 높이 0.9~1.2 m, 발끝막이판 ≥ 10 cm.

5) 사다리

  • 발판 간격 250~350 mm, 근접수평거리 ≥ 150 mm, 상단 돌출 ≥ 600 mm.

6) 백게이지·평행도

백게이지는 진동·헐거움 없이 움직여야 하며, 칼날과의 평행·직각 상태가 유지되어야 합니다(제작사 기준). 위험한계 접근 시 인터록으로 손 접근을 차단합니다.

Ⅳ. 전원투입 상태 점검

1) 브레이크 성능

  • 급정지 시간: 제작사 규정 이내.
  • 드럼 외주 틈새 ≤ 0.2 mm, 라이닝 균열·편마모·유분 없음.

2) 정지기구·비상정지

  • 1행정 1정지, 연속동작 금지, 상한 위치 정지.
  • 비상정지 작동 시 복귀 전 재가동 불가.

3) 푸트스위치

보호덮개가 있어야 하며, 낙하물·실수로 작동되지 않는 구조일 것.

4) 회전각도·표시·타이머(해당 시)

회전각도표시·제동 타이머 등 지시계의 표시가 명확하고 설정·표기와 일치해야 합니다.

5) 백게이지(Back-gauge)

진동·헐거움 없이 작동, 위험한계 접근 시 인터록 기능으로 손 접근 방지.

Ⅴ. 방호장치 성능 검사

1) 가드식 방호장치

가드를 닫아야만 작동, 작동 중에는 개방 불가. 와이어로프·클립·고정볼트·핀·가드락·인터록 캠 전 구간 점검.

2) 양수조작식(양손버튼)

  • 버튼 내측 간격 ≥ 300 mm.
  • 동시성·한손 이탈 정지·반복방지·재가동 방지 기능 구현.

3) 광전자식(라이트커튼)

KS/ISO 13855에 따라 안전거리 S = K×T + C를 적용합니다(응답시간 T는 설비·제동계통 실측치 사용). 투광·수광 정렬, 고정부 견고, 표시램프 정상, 빔 차단 시 즉시 정지.

Ⅵ. 전기 계통 점검

  • 배선 접속 견고, 피복 손상 없음.
  • 배선 절연저항: 대지전압 ≤150V ≥ 0.1 MΩ, 150~300V ≥ 0.2 MΩ, 300~400V ≥ 0.3 MΩ, ≥400V ≥ 0.4 MΩ.
  • 전동기 절연: [MΩ] ≥ 1000 × 사용전압(V) + 출력(kW).
  • 리미트·릴레이·개폐기·퓨즈·표시등·분전반 이상 없음, 전환스위치는 위치별 기능 유지.

Ⅶ. 유압 계통 점검(해당 시)

  • 유압실린더 누유·패킹 손상 없음, 펌프·모터 커플링 유격 없음.
  • 압력조정밸브 설정치는 게이지 ±1 눈금 내.
  • 압력계 0점 정상, 최고사용압력 시 지침이 게이지판의 2/3 지점.
  • 압력스위치는 설정압에서 확실 작동, 작동유는 오염·유화·변색 없음.

Ⅷ. 실무 체크리스트(발췌)

구분핵심 확인 항목기준·수치비고
이름판전단능력·제조정보표시 선명촬영 보관
칼날·판압날끝·고정부균열·풀림 없음시각 점검
브레이크제동시간·틈새제작사 규정, ≤0.2mm시험
가드식개폐 연동·인터록작동 중 개방 불가스위치 확인
양수동시성·재가동 방지버튼 간격 ≥ 300mm버튼 테스트
라이트커튼안전거리·정렬KS/ISO 13855, S = K×T + C테스트로드
전기절연저항0.1~0.4MΩ 이상메거
유압압력계·스위치2/3 지시·설정압 작동시운전

Ⅸ. 현장 부적합 사례

  • 라이트커튼 설치거리 미달 → 손 접근 가능 → 즉시 불합격.
  • 양수조작식 동시성 불량 → 한 손만으로 반복작동 가능.
  • 칼날 고정부 풀림·커버 미설치 → 절단 중 이탈 위험.
  • 브레이크 제동시간 초과 → 마찰부 정비 후 재시험.
  • 비상정지 복귀 전 재가동 가능 → 배선·인터록 원복 후 재검사.

Ⅹ. 시험 방법(현장 절차 요약)

  • 브레이크: 정상 속도에서 단발 구동 → 급정지 명령 → 정지시간을 기록(제작사 기준 대비).
  • E-Stop: 전원투입 상태에서 비상정지 작동 → 즉시 정지 여부 확인 → 복귀 전 재가동 불가 시험.
  • 양수조작식: 두 버튼 동시 누름 → 한 손 이탈 즉시 정지 → 버튼 간격 측정(≥300mm).
  • 라이트커튼: 정렬 확인 → 테스트로드 삽입 시 즉시 정지 → 안전거리 계산(S = K×T + C).
  • 전기 절연: 전원 차단·방전 후 메거 측정 → 전압대별 하한 충족 확인.
  • 유압: 시운전 중 압력계 지침 위치(최대 시 2/3), 압력스위치 설정압 작동, 누유 점검.

Ⅺ. 사진·기록 가이드

  • 이름판(전단능력·제조정보) 정면 촬영
  • 가드 닫힘/열림 상태 각 1컷 + 인터록 스위치 근접
  • 양수조작 버튼부(보호링·간격 측정 화면 포함)
  • 라이트커튼 투광/수광 정렬 상태 + 테스트로드 삽입 컷
  • 브레이크 제동 타이머/표시계 화면
  • 전기 분전반 내부(단자 풀림·이물 없음 확인), 메거 수치 화면
  • 유압 압력계 지침(최대 시 2/3 위치), 누유 의심 부위 클로즈업

Ⅻ. 검사 준비물(권장)

  • 메거(절연저항계), 테스트로드(라이트커튼), 체결 상태 확인 마킹펜(토크마크)
  • 캘리퍼/간극게이지(필요 시), 드라이버·렌치 기본 세트, 청소용 브러시
  • 카메라/스마트폰(촬영), 작업용 장갑·보안경 등 PPE

ⅩⅢ. 참고자료·첨부파일

전단기 안전검사 자료(PDF) 다운로드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