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M 자체감사를 시작하면 기술 세부보다 먼저, 운영 체계가 실제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봅니다. 회의가 열리고 보고가 쌓여도 심의·지적·권고가 책임자·기한·검증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자료, 평가, 운전, 비상, 현장)에서 같은 문제가 반복됩니다. 이 글은 ‘일반사항’을 큰 개요로 정리했습니다. 산안위 심의 이후 처리, PSM 심사에서 나온 보완/조건부 요구 이행, 그리고 위험성평가·자체감사에서 도출된 개선조치가 실제로 종료(완료)되는지—세 갈래를 질문 → 확인 방법 → 기록 방식으로 묶었습니다. 말·문서·실행이 함께 맞으면 ‘적합’, 어느 한 곳에서 끊기면 그 자리에서 개선조치(책임자·기한·검증)로 마무리 절차를 정합니다.
Ⅰ. 일반사항의 큰 개요(무엇을 포함하나)
산업안전보건위원회: PSM 관련 안건을 심의하고 결정사항 이행을 확인·추적합니다.
PSM 심사 보완/조건부: 외부 심사 요구를 목록화→계획→중간 점검 단계→완료→검증 순서로 관리합니다.
위험성평가/자체감사 개선조치: 평가·감사 조치가 등록→이행→효과 검증까지 끝나는지 봅니다.
기록·보고 체계: 회의록·의결서, 이행대장, 증빙 저장소, 월·분기 보고, 대시보드를 끊김 없이 연결합니다.
최근 12개월을 기준으로 확인하되, 미종결 항목은 발생 시점부터 현재까지 추적합니다.
Ⅱ. 일반사항 핵심 질문
구분 | 점검 질문(숫자 표기·재서술) | 의도 | 증빙(예시) | 판정 팁 |
---|---|---|---|---|
1 | 산안위 심의 결과가 실제로 이행되었는가? | 심의가 실행으로 이어지는지 확인 | 회의록/의결서, 결정사항 목록(담당·기한), 이행 현황 | 결정→등록→이행→검증이 연속이면 적합 |
1-1 | 산안위가 개선권고 이행을 정기 확인했는가? | 사후 확인 절차 점검 | 확인회의 기록, 분기 이행율/미이행 사유 | 상신→상급 보고(결재)→재검토 흐름이 주기적이면 적합 |
2 | PSM 심사 보완·조건부 요구는 계획대로 이행되는가? | 대외 요구의 일정·품질 관리 | 요구 통지, 이행계획(마일스톤), 중간 점검 단계 기록, 완료 증빙 | 중간 점검 단계와 완료 검증이 있으면 적합 |
2-1 | 심사·확인검사·조건부의 현재 이행 상태는? | 기한 준수 여부 확인 | 상태대장(완료/진행/지연), 지연 사유·대책 | 기한·책임·증빙이 셋 다 있으면 적합 |
2-2 | 위험성평가 결과의 개선 권고는 이행되었는가? | 평가 결과의 실행 종료 여부 | 조치대장, 작업 사진/로그, SOP 반영 기록 | 종결 + 현장 반영 흔적이 동시에 있으면 적합 |
2-3 | 자체감사 결과의 개선조치는 이행되었는가? | 감사 결과의 실행 종료 여부 | 조치대장, 효과 검증(재발/성능/교육 반영) | 종결 사유와 검증 자료가 붙으면 적합 |
Ⅲ. 확인 방법(현장에서 바로 쓰는 절차)
1) 목록을 먼저 합친다
산안위 결정, 심사 요구, 평가/감사 개선조치를 한 시트에 모아 번호·담당·기한·근거 문서 링크를 건다.
2) 중간 점검 단계를 둔다
‘계획만 있음’ 상태가 길어지지 않도록 중간 점검 일정과 필수 증빙(성능시험, 사진, 설정값 변경 로그)을 미리 정의한다.
3) 교차검증
말(인터뷰) ↔ 문서(대장/보고) ↔ 현장(표식·동작)이 일치하는지 샘플 3건 이상 확인한다.
4) 바로 마무리
미이행·불일치가 나오면 현장에서 개선조치(책임자·기한·검증)를 지정하고 대장에 등록한다.
5) 시각화
월 1회 대시보드로 완료율·지연 항목·평균 소요 기간을 집계해 경영층에 보고한다.
Ⅳ. 기록 방식
기록방식: 항목번호 / 출처(산안위·심사·평가·감사) / 내용 / 담당 / 기한 / 상태(진행·완료·지연) / 증빙 링크 / 효과 검증 결과 / 최종 검토자
증빙 원칙: 말만으로 종결하지 않는다(최소 2종: 기록 1 + 현장/시스템 1).
파일 경로: 공용 저장소의 표준 경로 사용(예: ECM://PSM/01_일반사항/연도/항목번호_제목/…).
보고 주기: 주간(팀) → 월간(부서장) → 분기(경영).
Ⅴ. 중요포인트
- 회의록만 있고 등록이 끊김 → 의결서에 담당·기한·증빙 링크 칸 의무화
- 조건부 ‘완료’ 체크 뒤 검증 부재 → 중간 점검 단계와 필수 증빙 목록 사전 지정
- 종결 기준 제각각 → 효과 검증 기준(재발 없음, 성능 데이터, 교육 반영) 합의
- 문서 분산 → 문서ID·버전관리, 저장소 일원화
- 인수인계 끊김 → 항목별 타임라인(발생→조치→검증) 자동 생성
Ⅵ. 다음 편
2편: 공정안전자료①—유해·위험물질 목록·MSDS(작성·비치·교육·표지)로 이어집니다.
Ⅶ. 핵심요약
- 일반사항은 산안위 심의 이행, 심사 보완/조건부 관리, 평가·감사 개선조치 종료를 한 화면에서 본다.
- 질문은 “이행되었는가?”에서 시작해 책임자·기한·검증으로 끝낸다.
- 대장은 출처·담당·기한·증빙·효과 검증을 표준 필드로 관리한다.
- 중간 점검 단계와 증빙 2종 원칙으로 ‘완료’의 품질을 지킨다.
- 말·문서·현장이 동시에 맞으면 적합, 어긋나면 즉시 개선조치 등록.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