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M 자체감사 2탄 | 공정안전자료(PSI) 완전성 점검: P&ID MSDS PSV·SIS 한 번에 맞추는 법

PSM 자체감사|공정안전

PSM 자체감사에서 2탄: 공정안전자료는 “현장·도면·목록이 한 치 오차 없이 맞는가?”를 확인하는 구간입니다. 실감사에서는 P&ID 태그가 현장 밸브 표기와 달라 조작이 지연되거나, 압력안전밸브(PSV) 계산서가 운전조건 변경을 따라가지 못해 지적이 이어지곤 합니다. 본 글은 완전성–최신성–일치성–열람 용의성 네 축으로 P&ID·장비/계기/배관 목록(EQ/INS/Line)·MSDS·PSV/파열판·SIS·위험지역 구분(HAC)·문서버전을 한 번에 점검하는 실무 절차를 정리했습니다.



Ⅰ. 배경/의의

공정안전자료는 공정 위험을 이해하고 통제하기 위한 출발점입니다. 공정안전자료가 틀리면 공정위험성평가(PHA), 운전·정비 절차, 비상대응까지 영향이 확산됩니다. 자체감사 단계에서 공정안전자료를 먼저 바로잡아 두면 이후 항목의 정합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Ⅱ. 적용범위(무엇을 공정안전자료로 보는가?)

1) 도면

PFD/UFD, P&ID(버전·개정사유·승인자 표시), 위험지역 구분(HAC) 도면

2) 목록/스펙

장비목록(EQ List), 계기목록(Instrument Index), 배관 목록(Line List), 데이터시트(설계압·온도·재질·부식여유)

3) 안전계장

SRS, Cause & Effect, 정기 시험기록, 우회(Bypass)·강제(Forced) 관리대장

4) 압력방출

PSV/파열판 레지스트리, 시나리오·용량 계산, 배출경로(Flare/대기)

5) 물질·표시

유해·위험물질 목록, MSDS(16개 항목), 경고표지·라벨(H/P 문구)

6) 문서관리

원본 파일과 배포용 문서 구분, 버전관리·배포/회수 절차, 열람 위치 고정

Ⅲ. 기준·요건(네개의 기준으로 점검)

1) 완전성

  • 유해·위험물질 목록: CAS/농도/상태/저장형태/최대보유량까지 누락 없음
  • P&ID 범위 내 장비·계기·배관 목록이 전부 존재
  • PSV/파열판 모든 태그가 레지스트리에 등재, 시나리오 누락 없음

2) 최신성

  • P&ID·데이터시트·레지스트리·SRS·C&E가 최근 변경사항 즉시 반영
  • MSDS 개정일·버전 확인 및 최신 GHS 반영
  • 법정·사내 주기(예: PSV 재검·SIS 시험주기) 결과가 문서에 업데이트

3) 일치성

  • 현장 표기 ↔ 도면 태그 ↔ 목록 1:1 매칭(샘플 10건 이상 교차대조)
  • 데이터시트 설계압/온도/재질이 명판·실측과 일치(사진 증빙)
  • C&E 로직과 실제 인터록/알람 우선순위·지속시간이 시스템 설정과 일치

4) 열람 용이성

  • 작업 중 즉시 확인 가능한 위치에 MSDS 및 관련 문서 비치
  • 전자/인쇄 구분 없이 필요한 사람이 즉시 볼 수 있도록 배치(열람 이력·담당자 관리 권장)

Ⅳ. 최근 반영 포인트(실무 요약)

  • 자체감사 체크리스트에 버전/개정사유/영향 필드를 기본 포함
  • MSDS 비치: 작업장 또는 작업 중 쉽게 접근 가능한 장소에 상시 게시/비치
  • 위험지역 구분(HAC): 구역 등급(0/1/2종)과 방폭 장비 등급·설치 방법의 일치 확인

Ⅴ. 자체감사용 체크리스트

  1. 물질 목록 누락·중복·오기 없음
  2. CAS/농도/상태/저장형태/최대보유량 정확
  3. MSDS 최신본 비치·교육 기록 보유
  4. 라벨 H/P 문구가 MSDS와 일치
  5. PFD/UFD·P&ID 최신본에 버전·개정사유·승인자 표시
  6. 현장 표기 ↔ P&ID ↔ 장비/계기/배관 목록 1:1 일치
  7. 데이터시트(설계압·온도·재질·부식여유) vs 명판·현장 일치
  8. PSV/파열판 레지스트리·용량 계산·배출경로 일치
  9. SRS·C&E 최신·서명본, 시험/우회·강제 리스트 관리
  10. HAC 도면 최신, 방폭 장비 등급·설치 방법 일치

Ⅵ. 체크리스트

번호 항목 질문
1유해·위험물질 목록유해·위험물질 목록에 누락·중복·오기가 없는가?
2유해·위험물질 목록각 물질의 CAS·농도·상태·저장형태가 기재되어 있는가?
3유해·위험물질 목록최대보유량·탱크당 보유량·운영재고가 문서로 확인되는가?
4유해·위험물질 목록GHS 분류·H/P 문구가 최신으로 반영되어 있는가?
5유해·위험물질 목록경고표지·라벨 문구가 MSDS와 일치하는가?
6유해·위험물질 목록배관·탱크의 유체명·흐름방향·밸브번호 표시가 현장과 일치하는가?
7MSDS/교육모든 취급 물질의 MSDS 최신본(개정일·버전)이 비치되어 있는가?
8MSDS/교육한국어본(필요 시 다국어본)이 작업 중 쉽게 확인 가능한 위치에 제공되는가?
9MSDS/교육MSDS 교육 기록(서명·이해도 확인)이 있는가?
10MSDS/교육도급/외주 근로자에게도 사전 제공·교육이 수행되는가?
11도면·목록PFD/P&ID/UFD 최신본의 버전·개정사유·승인자가 명확한가?
12도면·목록장비목록·계기목록·배관 목록이 최신인가?
13도면·목록현장 태그와 도면 태그가 1:1로 일치하는가(샘플 10건 이상)?
14도면·목록스펙시트의 재질·설계압/온도·부식여유가 도면/목록과 일치하는가?
15설비·배관 스펙/검사압력용기·탱크·열교환기·펌프 등 데이터시트가 최신인가?
16설비·배관 스펙/검사명판과 실설비 사양이 데이터시트와 일치하는가(사진 증빙)?
17설비·배관 스펙/검사수압/기밀시험·NDE·PWHT 기록이 설비별로 존재하는가?
18설비·배관 스펙/검사법정검사·자율검사·정기점검 일정·결과가 추적되는가?
19압력방출PSV/파열판 레지스트리(Tag·Set P·Orifice·시나리오)가 최신인가?
20압력방출방출 용량 계산서가 최신 유체물성·조건으로 수행됐는가?
21압력방출배출경로(Flare/대기) 용량·배관경로가 도면과 일치하는가?
22압력방출봉인·시험주기가 준수되고 기록이 남는가?
23계장·SISSIS 요구사양서(SRS)와 Cause & Effect가 최신·서명본인가?
24계장·SIS정기 시험 계획/실적, 우회·강제 리스트 관리가 되는가?
25계장·SIS알람 우선순위·지속시간·일시중지 기준이 문서화되어 있는가?
26계장·SIS비상정지(ESD) 로직과 현장 시험 기록이 일치하는가?
27전기·방폭위험지역 구분(HAC) 도면이 최신이며 장비 등급과 일치하는가?
28전기·방폭방폭기기 목록(Ex 등급·인증)과 설치 방법이 기준에 적합한가?
29전기·방폭접지·본딩·정전기 관리 문서/점검이 수행되는가?
30소방·환경소화설비 용량 산정이 저장/공정 조건과 일치하는가?
31소방·환경감지기 배치 도면이 C&E/실설치와 일치하는가?
32소방·환경방유제·배수·오수/우수 분리 도면·용량이 기준에 적합한가?
33소방·환경대기·수질 인허가 조건과 배출 포인트 문서가 일치하는가?
34문서관리·열람원본 파일과 배포용 문서를 구분·버전관리하고 있는가?
35문서관리·열람변경 승인 후 PSI 반영 기한을 지키며 지연 사유를 기록하는가?
36문서관리·열람열람 위치와 방법이 명확하며 필요 시 열람 이력을 남기는가?
37문서관리·열람인쇄물 회수/폐기 절차가 있는가?
38교육·운영PSI 교육 계획·이수율(신규·협력업체 포함) 관리가 되는가?
39교육·운영운영자 인터뷰(태그 의미·밸브 위치 설명)가 가능한가?
40교육·운영모든 근무조(교대·야간 포함)가 필요한 문서를 즉시 확인 가능한가?
41교차검증·현장 증빙현장–도면–목록 삼자 대조 절차가 문서화돼 있는가?
42교차검증·현장 증빙라벨·유체방향·밸브번호 사진 증빙 표준이 있는가(촬영 규격·보관 위치)?
43교차검증·현장 증빙샘플링포인트·블라인드 리스트가 작업절차와 연결돼 있는가?
44연계 체계MOC·PSSR 체크리스트에 ‘PSI 변경 반영’ 항목이 포함돼 있는가?
45연계 체계RBI·정비전략(예방/예지)에 설비 스펙 데이터가 연동되는가?
46연계 체계사고·근접사고(CAPA) 결과가 PSI 갱신으로 이어지는가?
47연계 체계이행평가 지적사항의 반영 완료 여부가 추적되는가?
48마감 검증시정조치 완료 후 문서 업데이트와 재배포가 확인됐는가(증빙 포함)?

Ⅶ. 검토시 준비자료

  • 도면: PFD/UFD, P&ID, HAC(버전·개정사유·승인자)
  • 목록: 장비/계기/배관 목록(내보내기 파일), 태그 규칙서
  • 안전계장/압력방출: SRS·C&E·시험기록, 우회·강제 리스트, PSV/파열판 계산서·레지스트리·배출경로 도면
  • 물질·표시: 유해·위험물질 목록, MSDS 최신본, 경고표지·라벨 사진, 배관 유체방향·밸브번호가 보이는 사진
  • 문서관리: 원본·배포용 구분, 배포/회수 기록, 열람 방법 안내 문서

Ⅷ. 자체감사 운영 절차

Week 1 – 기초자료 취합: 유해·위험물질 목록 재정렬 → P&ID 대상 범위 확정 → 장비/계기/배관 목록 최신화 → 샘플 10건 교차대조(불일치 리스트업)

Week 2 – 자료 일치화: PSV/파열판 시나리오·용량 재검토 → SRS·C&E 최신화 → HAC–방폭 장비 대조 → MSDS·라벨·교육 동기화 → 열람 방법 안내·권한 정리

마감: 변경관리 영향 반영 완료 보고(개정사유·일자·영향·증빙 링크)

Ⅸ. 핵심요약

  • 공정안전자료는 완전성·최신성·일치성·열람 용이성 네 축으로 점검.
  • P&ID–장비/계기/배관 목록 교차대조, PSV/파열판, 인터락이 핵심.
  • MSDS 비치방폭 장비 일치 필수.
  • 모든 문서에 버전·개정사유·영향을 남겨 추적성 확보.
  • 현장심사시 명확히 확인 가능한 기준 확립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