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 프레스 안전검사 완벽 정리|합격·불합격 판정 기준과 검사 항목

현장에서 프레스를 운영하는 초보 안전관리자에게 바로 도움이 되도록, 검사 절차부터 판정 기준 수치, 방호장치전기·공압·유압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본 글은 산업안전보건 관련 고시(프레스 안전검사 기준)와 안전검사 매뉴얼의 구조를 그대로 따라가며, 실무에서 묻는 “무엇을, 어느 값으로, 어떻게 확인하나?”에 답하도록 구성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프레스 안전검사|검사 항목과 합격 불합격 기준 정리

검사 전 정지상태전원투입 상태 순으로 점검하고, 불합격이 잦은 포인트와 즉시 조치 요령을 함께 표시했습니다.

Ⅰ. 프레스의 종류와 기본 구조 이해

검사 전 장비 유형 파악은 판정 기준과 시험 방법 선택에 직결됩니다. 아래의 세 가지가 대표적입니다.

기계식(확동식), 기계식(마찰식), 액압식 프레스 전경
그림 1. 프레스 종류(기계식 핀/키/마찰식, 액압식)
  • 기계식(확동식·핀/키 클러치): 크랭크축 구동, 1행정1정지 형태. 백래시, 핀·키 마모 한도 확인이 핵심.
  • 기계식(마찰식 클러치): 클러치·브레이크 조합형. 라이닝 마모, 누름판 스트로크 및 공압상태 점검이 핵심.
  • 액압식: 램 구동, 관성하강치·유압계통·인터록 성능 확인이 핵심.
프레스 주요 구성품 번호 설명도
그림 2. 구성품: ①카운트밸런스 ②회전각도표시계 ③커넥팅로드 ④슬라이드 ⑤과부하방지장치 ⑥양수조작식 ⑦다이쿠션 ⑧주전동기 ⑨로타리캠 ⑩전기분전반 ⑪공압조절반 ⑫안전블럭 ⑬제어반 ⑭광전자식 ⑮볼스터

Ⅱ. 법령 근거 및 검사 개요

산업안전보건법 및 시행규칙, 고용노동부·안전보건공단 고시(프레스 안전검사 기준)에 따름.

검사 대상: 프레스·전단기 등. 방법: 정지상태 → 전원투입 상태 순차 점검, 기록·사진 보존.

검사 흐름은 다음 네 단계로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1. 정지상태 확인(외관·조립·구조부·볼스터·크랭크·기어·회전체)
  2. 전원투입 상태 확인(클러치·브레이크·정지기구·회전각도표시계)
  3. 방호장치 성능 확인(가드·양수조작식·광전자식 등)
  4. 전기·공압·유압 계통 확인 및 기록

Ⅲ. 정지상태 점검

1) 압력능력 표기·이름판

본체 전면 및 제어부에 압력능력, 규격, 형식·제조번호, 제조자, 제조연월, 안전인증 표시가 선명해야 합니다. 표기 불일치·훼손은 교체·정정합니다.

2) 외관·조립 상태

프레임·주요부품 균열·손상 없음. 타이로드·기초볼트·슬라이드·크랭크·기어 등 체결부는 풀림이 없거나 풀림방지 조치가 있어야 합니다. 염색침투(PT) 등 간이 균열검사 권장.

3) 도장·부식

표면 녹·박리·부풀음이 없어야 하며, 특히 볼스터 접촉면의 평탄·청결 유지가 중요합니다.

4) 슬라이드·가이드·금형 고정부

슬라이드는 수동 이송 시 걸림 없이 원활해야 하며, 가이드(기브) 간극은 규정 내. 상·하한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을 반드시 확인합니다.

5) 작업 발판·사다리

  • 난간 높이 0.9~1.2 m 준수, 중간난간·발끝막이판 ≥10 cm.
  • 고정식 사다리 발판 간격 250~350 mm, 근접수평거리 ≥150 mm, 상단 돌출 ≥600 mm.

6) 타이로드·업라이트

타이로드는 이음매 없음, 상·하 나사산은 반대 방향. 체결 후 압력능력에 상응 강도 확보.

7) 볼스터

압축강도 적합, 상·하면 평행·진직도 유지, 상면 균열·찍힘·과다 마모 없음.

8) 크랭크축

핀·저널 마모·손상 없음. 웨브 상·하 간격은 a-b < ℓ/50 충족.

9) 기어·피니언 / 10) 플라이휠·주기어 런아웃

치면 손상·과다 소음 없음, 윤활 양호. 플라이휠 런아웃은 반경 500 mm 위치에서 미끄럼베어링 ≤1.0 mm, 구름베어링 ≤0.5 mm.

Ⅳ. 전원투입 상태·구동부 상세

1) 핀(슬라이딩핀) 클러치

구분≤30톤30~100톤>100톤
클러치핀 마모 한도3R 이하4R 이하5R 이하
받침대 마모 한도2R 이하3R 이하4R 이하
작동캠 운동거리≤1.0 mm≤1.5 mm≤2.0 mm
  • 브라켓 틈새 ≤0.3 mm, 연결핀 지름차 ≤1 mm, 키 틈새(30톤 기준) ≤0.5 mm.
  • 커플링·보스 손상 면적은 전체의 1/3 이하.
핀 클러치 단면 구조와 캠 작동 예
그림 3. 핀 클러치 구조·작동

2) 롤링키(키) 클러치

항목≤30톤30~100톤>100톤
롤링키 모서리 마모≤2.5R≤5R≤6R
중앙 클러치 링 마모≤3R≤6R≤7R

캠–내측 링 틈새 ≤3 mm, 스프링 처짐·파손 없을 것, 연결핀 지름차 ≤1 mm.

키 클러치(더블 롤링 키) 구조
그림 4. 키 클러치(더블 롤링 키) 구조

3) 마찰식 클러치·브레이크(건식/습식)

  • 건식: 누름판 스트로크 제작사 규정 내, 라이닝 균열·편마모·유분 없음, 스플라인·볼트 손상 없음.
  • 습식: 누름판 틈새 규정 내, 오일 누설 없음, 오일 상태(거품·유화·변색·오염) 양호·규정량 유지.
마찰식 클러치(브레이크 조합형) 단면도
그림 5. 마찰식 클러치 단면 및 AIR 구동

4) 브레이크(밴드/슈/디스크)

  • 라이닝 균열·편마모 없고, 마모량은 제작사 범위 내. 기름 유입 금지.
  • 드럼 마찰면·고정키 손상 면적 ≤ 1/3, 드럼 외주 틈새 ≤ 0.2 mm.
  • 스프링·공압실린더 파손·비틀림 없고 정확히 조정.

5) 회전각도 표시계·정지기구

  • 회전각도표시계: 하사점 지시 정확. 핀/키식은 설정정지점과 실제 정지각이 ±10° 이내.
  • 정지기구: 1행정1정지 오동작·연속동작 없음, 상사점 정지. 급정지는 최대정지시간 내, 비상정지는 복귀 전 재가동 불가.

6) 슬라이드·연결부·카운터밸런스·푸트스위치

슬라이드 조절 전 범위 원활, 상·하한 리미트 확실, 과부하방지·평형·누름·다이쿠션 정상. 카운터밸런스 압력·누유 확인. 페달 덮개 변형·노출 없음.

프레스 슬라이드 종류 설명 사진
그림 6. 슬라이드 종류 확인 예시

7) 안전블럭·안전플러그·주전동기 인터록

금형 교체·정비 시 안전블럭은 슬라이드 작동과 인터록 연동돼야 합니다. 각 조작위치별 안전플러그 비치·작동. 클러치 접속 상태에서 슬라이드가 정지되면 주전동기 구동 금지.

8) 공압 계통(공통)

전자밸브 외관 이상·이상음 없음, 압력조정밸브·압력계 정상, 압력스위치는 설정압에서 확실 작동. 공기탱크 두께 기준 이상, 안전밸브는 설정압에서 정상 개방.

Ⅴ. 방호장치 성능 검사

1) 가드식 방호장치

가드를 닫아야만 슬라이드가 작동하고, 작동 중에는 가드를 열 수 없어야 합니다. 와이어로프·클립·고정볼트·장석·인터록 캠·가드락·완충고무·연동스위치 등 전 구간 기능을 확인합니다.

2)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양손버튼)

  • 보호링 이상 없음, 버튼 내측 간격 ≥ 300 mm, 안전거리 적합.
  • 동시성·한손 이탈 정지·반복방지·재기동 방지 기능 구현.

3) 광전자식 방호장치(라이트커튼)

위험한계 밖 안전거리 설치, 투광·수광 정렬, 고정부 견고, 표시램프 정상. 빔 차단 시 즉시 정지. 금형 조건 변화 시 뮤팅/블랭킹 설정을 재검토합니다.

양수조작식·광전자식·가드식 방호장치 예시
그림 7. 방호장치 예시(양수조작식, 광전자식, 가드식)

Ⅵ. 전기 계통 검사

  • 배선 접속 견고, 노후·피복 손상 없음.
  • 배선 절연저항: 대지전압 ≤150V ≥0.1 MΩ, 150~300V ≥0.2 MΩ, 300~400V ≥0.3 MΩ, ≥400V ≥0.4 MΩ.
  • 전동기 절연: [MΩ] ≥ 1000×사용전압(V)+출력(kW).
  • 리미트·릴레이 변색/소손·이물 없음, 개폐기·퓨즈 정격 적합, 제어반·분전반 이물 혼입 없음, 단자 풀림 없음.
  • 전환스위치는 위치별 기능 유지, 행정 종류·조작방법 표시. 램프 표시는 정상.

Ⅶ. 액압 프레스 추가 검사

1) 램·슬라이드·리미트·안전블럭 연동

램 표면은 누유 원인이 되는 홈이 없어야 하며, 패킹 체결 확실. 슬라이드는 원활. 위치검출장치·체결볼트 풀림 없음. 안전블럭은 전원과 확실히 연동.

2) 유압계통

  • 펌프 작동 정상, 모터 커플링 유격 없음.
  • 압력조정밸브 설정압은 게이지 ±1 눈금 범위.
  • 압력계 0점 정상, 최고사용압력 시 지침이 게이지판의 2/3 지점.
  • 압력스위치 설정압에서 확실 작동. 작동유 유량 적정, 이물·유화·변색·현저 오염 없음.

3) 정지기구·관성하강치

1행정1정지 상한 정지, 급정지는 규정시간 내. 관성하강치는 ≤50 mm(≤50톤), ≤100 mm(50~300톤), ≤150 mm(>300톤) 충족.

Ⅷ. 실무 체크리스트

구분핵심 확인 항목기준·수치비고
명판압력능력·규격·제조정보표시 선명촬영 보관
플라이휠 런아웃반경 500mm 지점미끄럼 ≤1.0mm / 구름 ≤0.5mm다이얼 게이지
핀 클러치핀·받침대 마모톤수별 3R/4R/5R, 2R/3R/4R캠 거리 ≤2.0mm
키 클러치롤링키·링 마모톤수별 2.5R~7R캠-링 ≤3mm
전기배선 절연저항전압대별 0.1~0.4MΩ 이상메거
라이트커튼설치 거리·정렬KS/ISO 13855 기준테스트로드
액압 관성하강치급정지 응답 거리≤50/100/150mm최대속도 시험

Ⅸ. 현장 팁 & 흔한 부적합

  • 금형 교체 잦은 설비: 슬라이드 리미트 캠·고정부 풀림이 자주 발생. 토크마크로 관리.
  • 방호장치 임의 무력화(자석·철사): 즉시 원상복구 및 재시험.
  • 라이트커튼 오정렬: 진동 시 광축 어긋남. 고정부 강화 및 정기 점검.
  • 클러치·브레이크 분진 미청소: 라이닝 편마모 유발. 월 1회 이상 청소·기록.
프레스 안전플러그 안전블럭 예시
그림 8. 안전블럭·안전플러그 예시
검사자료(원문 PDF) 바로가기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원문 검사자료 링크를 제공합니다. 새 창에서 열립니다.

📎 프레스 검사기준  열기
* 가끔 외부 링크 접근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링크 오류 시 답변주세요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