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옥내저장소, 보유공지와 구조설비 핵심 — 고인화점·지정과산화물

위험물·옥내저장소

옥내저장소는 동일한 건물 안에서 위험물을 보관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저장 물질의 성질에 따라 법적 기준이 크게 달라집니다. 대표적으로 고인화점 위험물(인화점 100℃ 이상)지정과산화물은 보유공지를 산정하는 방식과 구조·설비 요구사항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옥내저장소: 고인화점·지정과산화물 보유공지·구조 핵심(별표5 기준)

이번 글은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를 근거로 두 유형의 옥내저장소를 법령·보유공지·구조·설비·현장 작성 포인트 순서로 정리했습니다.

Ⅰ. 법정 근거

고인화점: “인화점 100℃ 이상의 위험물만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의 보유공지 및 구조·설비는 다음 기준에 따른다.” (별표 5 Ⅴ)

지정과산화물: “지정과산화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의 보유공지는 담 또는 토제를 설치한 경우설치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며, 지정수량의 배수에 따라 별표의 기준을 적용한다.” (별표 5 제2호 및 부표)

Ⅱ. 고인화점 옥내저장소

1) 적용대상

  • 인화점 100℃ 이상고인화점 위험물만 저장하는 옥내저장소
  • 고인화점 옥내저장소라고 하더라도 처마높이가 6m 이상 ⇒ 일반 옥내저장소 기준으로 산정
  • 타 류(저인화점 포함)와 혼재 시 본 기준 적용 불가 ⇒ 일반 옥내저장소 기준으로 산정
  • 근거: 시행규칙 [별표 5] Ⅴ

2) 보유공지(외벽 기준 최소거리)

옥내저장소 보유공지 기준: 지정수량 배수별 최소 이격거리

지정수량 배수 내화구조 비내화
20배 이하 0.5 m 이상 0.5 m 이상
초과 20 ~ 100배 1.0 m 이상 1.5 m 이상
초과 100 ~ 200배 2.0 m 이상 3.0 m 이상
200배 초과 3.0 m 이상 5.0 m 이상

3) 구조·설비

옥내저장소 구조 요건: 내화구조 벽·기둥·바닥, 창 제한, 방화문
  • 벽·기둥·바닥 내화구조, 지붕 불연재
  • 출입구: 방화문 (필요 시 자동폐쇄식)
  • 창 제한: 한 면 창 합계 ≤ 벽면적의 1/80, 단일창 ≤ 0.4㎡
  • 환기·배연: 물질의 증기 비중 고려해 저부/상부 배치
  • 배수·집유: 누출 및 소화수 집수·배수 설비 확보

4) 현장 작성 포인트

  • 고인화점만 저장할 때만 본 표 적용 가능
  • 다른 류 혼재 시 해당 구간부터 일반 옥내저장소 표로 계산
  • 도면에는 “고인화점 옥내저장소 — 별표 5 Ⅴ 적용”과 보유공지 수치를 함께 작성

Ⅲ. 지정과산화물 옥내저장소

1) 적용대상

  • 지정과산화물만 저장하는 옥내저장소
  • 담/토제 설치 여부에 따라 보유공지 표가 이원화
  • 기준이 조금 더 타이트함
  • 근거: 시행규칙 [별표 5] 제2호 및 부표

2) 보유공지(담·토제 설치 여부에 따른 최소거리)

지정과산화물 옥내저장소 보유공지 기준: 담·토제 설치 여부에 따른 최소 이격거리
지정수량 배수 담·토제 설치 시 미설치 시
초과 10 ~ 20배 6.5 m 이상 20 m 이상
초과 20 ~ 40배 8.0 m 이상 25 m 이상
초과 40 ~ 60배 10.0 m 이상 30 m 이상
초과 60 ~ 90배 11.5 m 이상 35 m 이상
초과 90 ~ 150배 13.0 m 이상 40 m 이상
초과 150 ~ 300배 15.0 m 이상 45 m 이상
300배 초과 16.5 m 이상 50 m 이상

3) 구조·설비

지정과산화물 옥내저장소 구조 요건: 내화구조, 방화문, 환기설비
  • 벽·기둥·바닥 내화구조, 지붕 불연재
  • 출입구: 방화문 60분 이상 (연소 우려 면은 자동폐쇄식 권장)
  • 창 제한: 한 면 창 면적 ≤ 벽면적의 1/80, 단일창 ≤ 0.4㎡
  • 환기·배연: 폭발압 분산 관점 고려(배연창·루버 위치·면적 검토)
  • 배수·집유: 누출 및 소화수 배출 대비
  • 담/토제 요건
    • 담(방호담): RC 등 내화, 두께 ≥ 200 mm, 높이 처마 이상, 외벽과 ≥ 2 m 이격
    • 토제: 경사 60° 미만, 외벽과 ≥ 2 m 이격, 붕괴·유실 우려 없음
  • 보강콘크리트블록조 사용 시: 수평보강재, 말단 정착, 최소 두께 등 시공 디테일 준수

4) 현장 작성 포인트

  • 보유공지가 매우 큼 (최대 50 m) — 설계 초기부터 배치·토목과 동시 검토
  • 담/토제 설치 여부를 초기에 결정하면 부지 압축이 가능
  • 도면에는 “지정과산화물 옥내저장소 — 별표 5 제2호 및 부표 적용”과 수치를 함께 작성

Ⅳ. 비교 정리

  • 고인화점 → 발화위험 낮음, 보유공지 완화 (최대 5 m)
  • 지정과산화물 → 반응성·폭발위험 큼, 보유공지 강화 (최대 50 m)
  • 두 경우 모두 내화/불연, 방화문, 창 제한, 환기·배연, 배수·집유는 공통 필수
  • 도면에는 유형·조항·수치를 명확히 작성하여 심사 대응

Ⅴ. 핵심 요약 (5줄)

  1. 옥내저장소는 저장물의 성질에 따라 고인화점지정과산화물로 구분해 적용한다.
  2. 고인화점은 보유공지가 완화되어 최대 5 m 범위에서 산정된다.
  3. 지정과산화물은 담/토제 설치 여부에 따라 최대 50 m까지 요구될 수 있다.
  4. 구조·설비는 두 경우 모두 내화/불연, 방화문, 창 제한, 환기·배연, 배수·집유가 기본이다.
  5. 설계도면에는 별표 5 조항과 수치를 함께 작성해 심사·검사 반려를 줄인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