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내저장소 보유공지 시리즈 가이드
옥내저장소의 설계·심사·검사 과정에서 가장 많이 혼동되는 것이 바로 보유공지와 구조설비 기준입니다. 이번 시리즈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를 근거로 보유공지 산정 절차 → 규모별 기준 → 특수물질 적용까지 순서대로 풀어낸 안내서입니다. 각 글을 읽으면 설계 단계에서부터 심사 반려를 예방할 수 있는 체크 포인트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구분 절차도(요약)
- 저장물 확인: 일반 / 고인화점 / 지정과산화물
- 저장 규모: 지정수량 50배 이하 여부
- 건축 요건: 처마높이·바닥면적·내화 여부
- 보유공지 산정: 담·토제 설치 여부 고려
- 구조·설비 확인: 창 제한, 방화문, 환기·배연, 배수·집유
① 옥내저장소 보유공지와 담·토제 설치 규정
기본적인 보유공지 산정 규정과 함께 담·토제 설치 시 완화 규정을 설명합니다. 내화/비내화 구조에 따라 보유공지 폭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심사에서 자주 지적되는 도면 작성 포인트까지 짚어줍니다.
글 보기② 소규모 옥내저장소와 소량취급 기준
지정수량 50배 이하를 저장하는 경우 적용되는 소규모 옥내저장소 기준을 다룹니다. 특히 처마높이 6m·바닥면적 150㎡ 조건에 따라 보유공지와 구조설비가 어떻게 완화되는지 정리했습니다. 소량취급과 일반 저장소의 차이도 비교해 실무 혼선을 줄입니다.
글 보기③ 고인화점 위험물·지정과산화물 옥내저장소
고인화점 위험물은 발화 위험이 낮아 보유공지 규정이 완화되지만, 지정과산화물은 반응성이 커 보유공지와 구조설비 요건이 강화됩니다. 두 대상을 나란히 비교하면서 도면 작성 시 어떤 조항을 근거로 삼아야 하는지 보여줍니다.
글 보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