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도면 관리
계통도
결선도
분전반
접지 설비
PSM
전기
도면
기타
전기 도면은 이 과정을 시각적으로 정리한 지도다. 따라서 전기 도면은 최초 설계에 한 번 작성하고 끝나는 문서가 아니라, 운영·유지보수·증설·점검 단계마다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소방 도면과 마찬가지로 전기 도면도 구역별·항목별로 체계적으로 취합하며, 도면·현장·관련 서류의 내용이 서로 일치해야 한다.
전기 도면은 처음 보면 기호와 선이 복잡해 보이지만, 큰 틀만 알면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국전력공사(한전)에서 전기가 유입되어 사업장의 변압기·변전실을 거치고, 1차·2차 전압으로 변환·분배된 뒤, 각 구역의 분전반을 통해 필요한 설비로 공급된다.
전기 도면은 이 과정을 시각적으로 정리한 지도다. 따라서 전기 도면은 최초 설계에 한 번 작성하고 끝나는 문서가 아니라, 운영·유지보수·증설·점검 단계마다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소방 도면과 마찬가지로 전기 도면도 구역별·항목별로 체계적으로 취합하며, 도면·현장·관련 서류의 내용이 서로 일치해야 한다.
Ⅰ. 기본 원칙 — 작성 · 취합 · 일치화
1) 작성
- 레전드(기호·약어), 도면번호, 축척을 프로젝트 전 도면에서 통일한다.
- 계통도 → 평면도 → 상세도 순으로 구체화한다.
2) 읽는 방법(큰 틀)
한전 전원 유입 → 변압기·변전실 → 1차·2차 전압 분배 → 각 구역 분전반의 흐름을 먼저 파악한다. 계통도에서 큰 흐름을 보고, 평면도에서 구역별 배치를, 상세도에서 시공 디테일을 확인한다.
3) 구역별 도면 취합
- 건물 전체 → 층별 → 구역별 단위로 도면을 묶어 관리한다.
- 구역별로 계통도·평면도·결선도를 함께 정리해 누락을 방지한다.
4) 일치화
- 전기 도면은 별도 명세서 체계가 일반적이지 않으며, 도면 자체에 부하 용량·차단기 정격·배선 규격을 기재해 사실상 명세서 역할을 한다.
- PSM 연동 시: 동력 명세서(전기 용량, 전기적 방어 장치) · 접지 명세서(접지 저항 측정 결과)를 관리하며, 값은 도면과 완전히 동일해야 한다.
Ⅱ. 전기 도면의 큰 구성과 상세 항목
1) 건축 전기
- 전기 설비 레전드
- 옥외 전력 간선 설비 평면도
- 수전설비 단선결선도
- 옥외 변전실 장비 배치 평면도
- 옥외 변전실 접지설비 평면도
- 큐비클 상세도
- 전력간선설비 계통도
- 분전반 결선도 (UPS 포함)
- 전력간선 및 동력설비 평면도
- 전기설비 상세도 (트레이, 전압선 등)
- 인입 장주도
- 전등 계획도 · 전열 계획도 · 비상조명 계획도
2) 동력 설비
- 건축·피뢰설비 배치도
- 각 설비 동력단선도 (접지 포함)
- 자동제어 설비 도면
3) 통신 설비
- 정보통신 간선 설비 배치도
- 정보통신 평면도
- LAN·전화 간선설비 계통도 · LAN·전화 간선설비 평면도
Ⅲ. 관리 절차 — 변경·갱신
- 변경 발생 시 부하 계산 → 계통도 → 평면도 → 상세도 순서로 갱신한다.
- 구역 명칭·범위가 바뀌면 해당 구역 도면의 제목·표기를 동시에 수정한다.
- 모든 변경에는 개정(Rev.) 이력을 기록해 최신본을 유지한다.
- 유지보수·점검·증설 시 현장과 도면을 대조하고 차이가 있으면 즉시 수정한다.
- PSM 연동 시 동력(전기 용량·방어 장치)·접지(접지 저항 측정) 명세 값도 함께 갱신한다.
Ⅳ. 결론
전기 도면은 시공 참고용을 넘어, 건축물의 전력 체계를 운영하고 안전을 지키는 기준 문서다. 계통도–평면도–상세도 구조로 구역별 취합·관리하고, 도면·현장·관련 서류(PSM 포함)의 내용이 서로 일치하도록 유지해야 한다.
Ⅴ. 핵심 요약
- 전기 도면은 한전 유입 → 변전실 → 1차·2차 전압 → 분전반 흐름만 잡아도 이해가 쉬워진다.
- 작성은 계통도 → 평면도 → 상세도, 해석도 같은 순서로 본다.
- 별도 명세서는 일반적이지 않으며, 도면 자체가 부하·정격·배선을 담아 사실상 명세서 역할을 한다.
- PSM 연동 시 동력(전기 용량·방어 장치)·접지(접지 저항) 명세를 도면과 일치시킨다.
- 변경 시 Rev. 관리와 즉시 갱신이 필수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