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감사 사후검토 변경관리 와 가동 전 안전 점검 을 한 흐름으로 묶으면 재가동 전에 불합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변경 승인 절차–문서 개정–교육·배포–복구 확인–재가동 전 분야별 점검 까지, 이미 끝난 자체감사 산출물을 사후 검토 하기 …
자세한 내용 보기PSM 자체감사|비상조치계획 비상조치계획은 문서가 아니라 움직이는 체계 입니다. 경보가 울리면 1분 내 누가 지휘를 잡고, 어디로 대피시키며 어떤 장비를 먼저 가동할지까지 몸에 밴 동작 으로 나와야 합니다. 자체감사에…
자세한 내용 보기안전관리 공사 착수 전 “우리 공사가 방지계(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인지, PSM으로 면제되는지”를 빠르게 판정할 수 있도록 업종·전력·설비의 3단 로직과 핵심 수치(300kW, +100kW, 3톤, 50kW·50kg/h, 60/150 m³/…
자세한 내용 보기PSM 자체감사 PSM 자체감사 준비용 직급별 점검표 요약본입니다. PSM 12요소 이해, 위험성평가·작업허가·비상대응 등 질문의 요지와 의도 를 묶어 적합/부적합 판정에 바로 쓰도록 정리했습니다. 현장에서는 “누구에게 무엇을 물어야…
자세한 내용 보기PSM 자체감사 체크리스트 전 시리즈(①~⑨)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각 편은 고용노동부 PSM 고시·법제처·KOSHA 기준을 근거로, 실무자가 자주 놓치는 질문지·체크리스트 그에 따른 준비자료 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PSM 자체감사 연계|일반사항 큰 개요 PSM 자체감사를 시작하면 기술 세부보다 먼저, 운영 체계가 실제로 돌아가고 있는지 를 봅니다. 회의가 열리고 보고가 쌓여도 심의·지적·권고가 책임자·기한·검증 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자료, 평가, 운전,…
자세한 내용 보기PSM · 안전거리 공정안전관리(PSM) 대상 사업장에서 안전거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 공정과 탱크, 사무실과 제어실이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는 화재·폭발·독성물질 누출과 같은 사고 상황에서 근로자와 시설을 지켜낼 수 있는 최소한의 방어선입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PSM 안전거리 고압가스 안전거리 CO₂ LNG LN₂ 저장탱크 위험물 보유공지 위험물 산안법 기타 안전거리 핵심만 쏙! 카드로 보는 실무 규정 …
자세한 내용 보기PSM 자체감사|교육·작업허가·도급관리 PSM 자체감사에서 교육·훈련 , 작업허가 , 도급관리 는 따로 움직이는 절차가 아니라 하나의 흐름입니다. 교육에서 다룬 기준이 작업허가 체크리스트로 이어지고, 도급 인력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때 문서가 아…
자세한 내용 보기PSM 자체감사|안전운전계획 (시리즈 4편) 공정안전보고서 자체감사에서 안전운전계획 은 ‘문서에 적힌 대로 현장에서 실제로 움직이는가’를 끝까지 확인하는 구간입니다. 핵심은 운전절차의 최신성 , 비정상상태 대응의 즉시성 , 정지 후 재가동 절차의…
자세한 내용 보기자체감사|공정 위험성 평가 공정 위험성 평가는 보고서 작성이 목적이 아니라 위험 식별 → 개선 실행 → 잔여위험 승인 → 재평가 가 끊김 없이 돌아가도록 만드는 체계입니다. 본 글은 자체감사자가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질문지·표·증빙 목록 을 판정 …
자세한 내용 보기자체감사 사후검토 기계적 완전성 은 문서로 시작해도 현장에서 끝 나야 합니다. 설비 목록과 등급, 주기의 존재보다 중요한 것은 정해진 주기의 점검·기능 시험·검교정 이 실제로 이루어졌는지입니다. 조치 뒤 전·후 사진 과 테스트 레포트 가 남지 않…
자세한 내용 보기건축 도면 건축 도면 구성요소 건축 평면도 건축 입면도 건축 단면도 PSM 도면 현장에서 도면을 제대로 잡아두면 뒤에 오는 설비·소방·전기 도면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건축은 그 시작점입니다. 특히 …
자세한 내용 보기